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경제 공부

(12)
[주식] ChatGPT로 떠들썩한 이때, 어디를 투자할까? 날짜: 2023-01-25 출처: https://youtu.be/Ze24Bygvjgg 로봇과 인공지능 관련주들 주가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 전체적으로 오르고 있는 추세 최근에 많이 오른 회사 레인보우로보틱스 셀바스AI 코난테크놀로지 마인즈랩 마이크로소프트가 투자한 ChatGPT영향으로 기대감이 많이 쏠림 대중의 관심이 쏠려서 급등했던 소형주는 가급적 안 쳐다보는게 좋다. 주가에 너무 몰입하지 말고 시대의 흐름을 보면서 수혜주를 찾아야함 소형주는 운이 좋아야하고, 대형주는 노력으로도 이룰 수 있음 로봇과 인공지능을 투자할때 유념해야하는 것 로봇은 하드웨어, 인공지능이 소프트웨어. 연관관계를 보면서 투자를 하는게 좋음 스마트폰의 예시 삼성의 갤럭시 - 하드웨어 구글의 안드로이드 - 소프트웨어 애플은 둘다 가..
[주식] 앞으로 투자 방향성을 결정하는 CPI, 어떻게 봐야하나 날짜: 2022-01-13 출처: https://youtu.be/pwLUABRR3UY 미국 증시가 많이 상승했다. 연속적으로 지수가 상승 미국지수 상승세보다 아시아 증시, 특히 한국 증시 상승세가 굉장히 강함 잘 보면 모든 종목이 상승하지 않음 보통 우리가 좋아하는 종목이 상승해서 모든 종목이 상승한다고 착각할 수 있음. 전체 히트맵을 확인하는게 좋음 일부 종목들 위주로 강한 상승세를 펼치고 있음. 왜 이런 결과가 나왔나? 유동성이 많을때, 유동성이 빠질때는 전체가 상승하고 전체가 빠짐. 유동성은 마른 상태에서 증시가 상승한다? -> 종목들 위주로만 돈다. 돈이 될 애들만. 정부의 정책 지원 관련된 업종들 -> 시장이 돈이 없지만 정책적으로 지원하는 곳은 돈이 마르지 않음. 혹은 시대의 흐름에 맞는 사업..
[주식] 주가가 내려가는 테슬라, 투자 타이밍은? 날짜: 2023-01-07 출처: https://youtu.be/w_oihVPGLc8 테슬라의 중국 판매가격 인하 테슬라가 중국에서 가격을 많이 내림.13.5% 미국, 중국이 40% 가격 차이가 난다. 왜 이러나? 중국에서 생산량이 가장 크다. 옮기려면 배로 옮겨야한다. -> 물량 한계가 있음. 내륙으로 판매하는게 좋다. 베를린 공장에서 유럽 20%를 커버 -> 올해 50%까지 커버하지 않을까? 미국도 미국에서 커버. 늘어난 생산량만큼 중국에서 판매를 해야한다. 중국은 가장 큰 전기차 시장. 여기를 1등을 하는게 중요한 의미를 가짐. 하지만 애플 말고는... 애플빼고 외국 브랜드가 중국에서 1등한게 없다. 중국 전기차 업체가 테슬라를 베껴서 더 저렴하게 판매 올해부터 전기차 보조금이 없음. -> 테슬라가..
[주식] 미국, 영국의 연기금 파산 위험. 눈여겨 봐야할 부분은 날짜: 2022-10-02 출처: https://youtu.be/tpnD_9Plx3E 연준위원들의 연이은 매파적 발언 증시가 가라앉는다. 강한 금리인상이 지속될 것을 암시한다. 9월 물가가 하락하지 않는 상황이다. 주택 매매 가격이 안떨어지는 것이 크다. 주택 가격 하락은 금리 인상이나 경기침체가 오면 발생한다. 더 높은 금리 = 이자 부담이 커짐 경기 침체 = 돈 자체가 없어짐 부동산은 많은 고용효과를 일으킨다. 부동산 경기침체는 실업률증가를 동반한다. 연준위원들: 미국의 실업률이 낮으니, 이 정도는 견딜것이다. 물가가 잡혀야 화폐에 대한 가치가 유지가 되고 신뢰가 쌓이게 된다. 물가를 못잡으면 달러는 가치를 잃게 된다. = 미국이 세계시장에서 패권을 잃게 된다. 러시아와 중국이 패권을 노리고 있는데,..
[주식] 애플의 악재로 무너진 나스닥. 우리의 자세는? 날짜: 2022-09-29 출처: https://youtu.be/jtYrFpWCS0U 애플의 악재로 무너진 나스닥 아이폰 14가 예상보다 반응이 좋아서 아이폰 생산량을 늘린다는 계획을 발표했었다. 나스닥에서 유일하게 주가 버티기를 하던 종목이 애플과 테슬라. 2개로 나스닥 지수 버티기를 했다. 나머지는 처참했다 하지만 오늘 오전 시총 1위 애플도 수요부진으로 인해 생산 증가계획을 철회하겠다라는 속보가 떴다. 경기 침체가 본격화되었다. 그럼에도 금리는 오른다 11월달에 0.75% 더 올릴 것 같은데, 이걸 버틸 수 있는 기업이 있을까? 원래 애플의 계획은 2021년 출하량인 2억 3300만보다 5% 더 늘리는 것이었다. = 2억 4400만대 시장은 안좋지만 아이폰은 더 잘 팔릴 수 있다는 자신감을 보여줬다..
[주식] 엔화와 나스닥의 급상승 이해하기 날짜: 2022-09-22 출처: 전인구 경제연구소 엔화와 나스닥의 급등 엔화가 급등한 사건이 발생, 동시에 나스닥 지수도 급등 이해를 위해서는 일본 국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일본 국채에 대해서 일본의 장기국채 시가총액이 1021조엔 = 우리돈으로 1경원을 넘음 일본은행이 이중에서 515조엔을 가지고 있음 = 우리돈으로 5000조원 금리가 상승하면 문제가 발생한다. 일본은행이 보유한 채권보유 평가액이 감소하게 된다. 그러면 자본이 부실해진다. 일본 국민들도 일본채권을 상당 수 보유 하고 있다. 다른 나라들은 경제가 우상향 했기 때문에 주식, 부동산 등의 다른 투자처가 있었지만, 일본은 디플레이션에서 살아남는게 채권뿐이라서, 일본채권에 많은 투자가 이루어졌다. 따라서 금리가 상승하면 국민들의 자산이 ..
[채권] 요즘 같은 시기에 어디에 투자해야할까? 날짜: 2022-07-09 출처: https://youtu.be/KV2ImZj0ODI 안전자산인 채권 투자의 인기가 늘고 있다. 원래 채권은 금리가 내릴때 더 인기가 있다. - 채권 만기를 채우면 원금과 이자를 받을 수 있다. - 금리를 빠르게 올리면 얼마 안지나 금리를 내리는 시기가 온다. 이때 채권 가격이 많이 오른다. - 보통 안정성이 좋은 국채에 투자한다. 투자 수익률도 나쁘지 않기 때문. - 보통 국채는 수익률이 낮다고 생각하지만, 이율이 낮은거지 가격이 낮은건 아니다. 부연설명: 채권은 두가지 측면에서 수익을 낼 수 있다. 하나는 채권의 만기때 원금과 이자를 받는 것이고, 하나는 시중에 해당 채권을 판매하는 방식이다. 수익률이 나쁘지 않다고 한 이유는 시중에 채권이 가치가 높아졌을때 판매해서 ..
[주식] 원자재도 하락했다. 이 시기에 돈을 벌고 싶다면? 날짜: 2022년 7월 6일 출처: https://youtu.be/lt23MMfzAdk 16000을 넘었던 증시가 수직하락 했다. 인플레이션, 러시아사태, 인플레 위험, 금리인상 경고, 경기침체 진입, 원자재 가격 하락 이럴때 증시를 들어올릴 호재가 필요하다. -> 하지만... 바이든, 푸틴, 시진핑, 빈살만, 젤렌스키. -> 고집을 포기하지 않는다. 경제가 망할때까지 끝까지 가보자. 바이든: 인권 친환경 푸틴: 과거 소련의 영광 재건 시진핑: 권력 독점 빈살만: 중동의 패권 젤렌스키: 임전무퇴 => 어마어마한 인플레를 만들었다. 지금의 금리 인상의 규모는 어마어마하다. 과거에는 1년에 1%만 올려도 엄청났는데, 지금은 한달에 1% 올릴 가능성도 나오고 있다. -> 빈대가 너무 많아졌으니 집을 태워서 빈..

반응형